English  |  正體中文  |  简体中文  |  Post-Print筆數 : 27 |  Items with full text/Total items : 113873/144892 (79%)
Visitors : 51979741      Online Users : 397
RC Version 6.0 © Powered By DSPACE, MIT. Enhanced by NTU Library IR team.
Scope Tips:
  • please add "double quotation mark" for query phrases to get precise results
  • please goto advance search for comprehansive author search
  • Adv. Search
    HomeLoginUploadHelpAboutAdminister Goto mobile version
    Please use this identifier to cite or link to this item: https://nccur.lib.nccu.edu.tw/handle/140.119/81145


    Title: 從村落到世界的江陵端午祭: 韓國無形文化保存與推廣的實踐
    The Internationalization of Gangnung Tano Festival : A study for Preservation and Popularization of culture in Korea
    Authors: 郭芳汝
    Contributors: 郭秋雯
    郭芳汝
    Keywords: 韓國文化
    文化保存
    無形文化財
    無形文化遺產
    江陵端午祭
    Korean culture
    culture preservatio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Gangnung Tano Festival
    Date: 2016
    Issue Date: 2016-02-03 11:24:20 (UTC+8)
    Abstract: 2005年韓國以「江陵端午祭」之名,正式將韓式的端午文化推向國際,成為韓國第三個登錄為UNESCO無形文化遺產的項目。但是,正當韓國慶祝著這項突破的成果時,對於其它同樣擁有端午文化的亞洲各國,這項消息卻是一個沉重的打擊,尤其對於長久以來以端午文化發源地自居的中國,如同失去端午文化唯一的解釋權。經由這個事件,讓各國開始對韓國的文化與文化保存方式產生好奇,究竟是如何在歷史洪流中完整保存下一個東海岸村落的端午祭活動,並且進一步發展成世界級的盛會呢?本論文以此問題作為出發點,針對江陵端午祭各時代的發展情形進行全面的剖析。
    本論文首先釐清了江陵端午祭內容組成與發展過程中的幾個轉折點,瞭解江陵端午祭的文化並非一脈相承至今,而是經歷了日治時期的傳承中斷,直至1960年代經由政府的制度政策及居民的協助,江陵的端午文化才逐漸復甦。因此,本論文以上述時間點為基準,將內容分為「江陵端午祭的登場與文化元素」、「江陵端午祭的文化財化」及「江陵端午祭的世界無形文化遺產登錄」三個部分,並採用歷史結構分析法的雙向分析方式,透過社會環境變化的歷史軸與制度政策組成的結構軸相互對照,掌握促成韓國江陵端午祭發展的各項方式。
    經由上述內容的彙整,分析出江陵端午祭之所以能保存至今,與政府在文化復原和保存工作上的強制力,以及居民自發性的協助有很大的關連性。中央與地方政府動員資源進行全面的研究、考證、建設與補助,並傾力將文化和其它產業的發展政策作連結,讓這些傳統文化元素不會隨著時代變遷而消逝;而居民的高度參與,證明了當代居民對該文化的認同,是江陵端午祭實踐文化傳承時不可或缺的因素。也就是說,韓國政府的制度政策在居民的協助下得以順利推動,居民的文化也倚靠政府提供的資源,發展出有利於改善實際生活的發展模式,進而實踐了文化保存與推廣。
    Reference: 1. 中文資料

    古籍
    陳壽著,梁滿倉、吳樹平等注譯(2013),《新譯三國志》,三民書局

    專書
    劉還月(2000),《台灣人的歲時與節俗》,常民文化
    扈貞煥(2006),《韓國的民俗與文化》,台灣商務印書館
    黃貞燕(2008),《日韓無形的文化財保護制度》,臺灣傳統藝術總處籌備處
    郭秋雯(2012),《韓國創意產業產業政策與動向》,遠流
    宋鎮照(1999),《台灣兩岸與東南亞:三角政經關係之解析》,五南圖書

    政府資料
    《保護非物質文化遺產公約》,2003
    《保護與促進文化表現形式多樣性公約》,2005
    《文化創意產業發展法草案》,2007

    期刊論文
    洪孟哲(2006),〈文化資產保存的世界潮流-從有形到無形〉,《美育月刊》第154卷,pp.12-19
    成耆仁(2010),〈世界非物質文化遺產—韓國江陵端午祭與韓國政府的文化投資〉,《國立歷史博物館館刊》第20期,p.77-83
    王瀞苡(2011),〈阿里郎的堅持與躍升—韓國文化遺產傳承策略探討〉,《文化資產保存學刊》第18期,p.27-38
    原來(2012),〈文化創意,或是文化與創意?-文化創意產業與無形文化資產觀念發展之衝突性思辨〉,《視覺新時尚國際學術研討會暨展演大會論文集》,pp.114-123

    學位論文
    林穗君(2012),〈韓國江陵端午祭的信仰與傳說研究—大關嶺山神祭、國師城隍祭與女城隍祭〉,中正大學中國文學研究所碩士論文
    溫宗翰(2011),〈台灣端午節慶典儀式與信仰習俗研究〉,靜宜大學台灣文學系碩 士論文

    網站
    台灣文化資產局「世界文化多樣性宣言」:http://twh.boch.gov.tw/taiwan/learndetail. aspx?id=40

    2. 韓文資料

    古籍
    남효온(1999),『추강선생문집』,한국문집편찬위원회
    허균(1982),『성소부부고』,민족문화추진회
    정인지(1972),『고려사』,아시아출판
    瀧澤誠•강릉고적보존회(1933),『증수임영지』

    專書
    박진태(1985),『한국가면극 연구』,새문사
    전경욱(2007),『한국의 가면극』,열화당
    김선풍•김경남,『강릉단오제 연구』,보고사
    강릉고적보존회(1997),『완역 증수임영지』,강릉문화원
    강릉단오제위원회(2010),『수릿날,강릉』제5집
    강릉시청(2006),『강릉단오제 천년사 자료집』
    김창수, 박미수, 이희성, 박종진, 노경희(2013),『지역축제』,대왕사
    장정룡,『아시아의 단오민속-한국,일본,중국』,국학자료원
    장정룡,『강릉단오제 현장론 탐구』국학자료원
    장주근,『한국의 세시풍습』,민속원
    임동권,『민속문화의 과제』,민속원
    政府資料
    『문화재보호법』,2014
    『문화재보호법 시행규칙』,2014
    『문화재보호법 시행령』,2014
    『문화산업진흥기본법』,2015
    『중요무형문화재공개 및 전승활동에 관한 규정』,2013
    『무형문화재 보호 및 진흥에 관한 법』,2015
    『강릉단오제: UNESCO인류구전 및 문화유산걸작 신청서』,2004
    민속제추진위원회(2004),『강릉국제관광민속제종합시행계획』
    문화재청(2006), 『중요무형문화재 원형보존과 재창조가이드』
    문화재청(2011),『문화재청50년역사』
    문화재청(2012),『중요무형문화재 활성화 종합계획』
    문화체육관광부(2010),『동해안권 광역 관광개발계획』
    문화관광부(2006),『100대 민족문화상징 활용방안』
    한국관광공사(2013),『지역관광활성화를 위한 축제활용 신규정책사업 발굴』
    국가법령정보센터(2015),「무형문화재 보존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정공지」
    강릉단오제위원회(1981),『1982강릉단오제결산서』
    강릉단오제위원회(200-2004),『2000-2004결산보고서』
    강릉문화원(1999),『강릉단오제백서』
    강릉단오제보존회(2000),『강릉관노가면극 전수교본』
    강릉발전연구원(2000),『강릉단오제 중장기 발전방안』

    期刊論文
    박환영(2007),「도시 공간 속에서 강릉단오제의 전승 및 계승방안 고찰」,『강원도민속학회지』제21집,pp.345-368
    남근우(2006),「민속의 문화재화와 관광화-강릉단오제의 포클로리즘(folklorism)을 중심으로」,『한국민속학』제43집,pp.205-253
    임재해(2007),「무형문화재 가치의 재인식과 창조적 계승」,『한국민속학』제45집,pp.237-285
    이윤선(2007),「민속문화와 문화원형-무형문화재와 <문화원형사업>의 문화원형담론을 중심으로」,『지방사와 지방문화』제11권1호,pp.11-19
    이경화(2010),「강릉단오제의 전승양상 고찰-1960년대 문화재지정 전후를 중심으로」,『인문학연구』제14집,pp.5-62
    (2011),「강릉단오제의 전승과 변화-1970년대 전승양상을 중심으로」,『인문학연구』제15집,pp.63-104
    이창식(2012),「한국 단오제의 지역별 현황과 정체성」,『남도민속연구』제25집,pp.157-195
    황루시(2002) ,「강릉단오제 설화연구」,『구비문학연구』제14집,pp.437-473
    (2003),「민속축제 활성화에 따란 무형문화재 변용-강릉단오제를 중 심으로」,『문화재』제36집, pp.299-312
    (2006),「현대의 공동체와 축제의 기능 : 강릉단오제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제22집,pp.205-230
    김선풍(1983),「관노가면극의 현장론 반성」,『강원민속학』제1집,pp.5-56
    김종대(2011),「한국 민간신앙에 나타난 호의 존재와 그 상징」,『어문논집』 제47집,pp.75-94
    김수경(2011),「캐릭터를 활용한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대전지역의 캐릭터 를 대상으로」,『조형매체학』제14집2권,pp.25-32
    김영국•오성규(2014),「중요무형문화재 전승지원금제도의 개선을 위한 법정책적 소고」,『법과 정책연구』제14권, pp.71-105
    강원호(2011),「강릉단오제 기간 중 농악경연대회-변천과 전망」,『강원민속 학』제25집, pp.7-26
    장정룡(2006),「단오절 용주문화(龍舟文化)의 연원과 실제-대만 의란현 용주경도를 중심으로」,『중앙민속학』제11집,pp.93-113
    장정룡(2006),「세계무형문화유산 강릉단오제의 의미와 과제」,『한국관광정책』제24집,pp.99-105
    정윤주(1990), 「강릉단오제 근원설화와 관노가면극의 상관성 고」,『강원민속학』제7,8집,pp.63-80
    정주진(2004),「무형문화재 제도의 성립, 그 역사성의 재고」,『한국민속지』제40집,pp.475-508
    정욱영(2015),「강릉단오제 방문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의사 결정요인 분석」,『관광연구저널』제29집,pp.129-138
    최철(1969),「강릉 단오제의 근원설화」,『연세어문학』제2집, p.14-21
    임동권(2006),「1966년 강릉단오제 무형문화재지정 보고서」,『강릉단오제 천년사 자료집』,pp.135-152
    오훈성(2013), 「문화관광축제 선정의 일몰제 적용에 따른 제도 운영 개선 방안 연구」,한국문화관광연구원
    송준(2008),「무형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소고-전형의 개념을 중심으로」,『남도민속연구』제17집,pp.21-237

    學位論文
    이서정(1997),「우리나라 문화정책과정에 대한 평가-‘95 미술의 해’ 지정 정책을 중심으로」,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경화(2010),「강릉단오제의 전승상황 연구」,관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이장열(2014),「중요무형문화재 정책변화 연구」,경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수지(2004),「한국문화재 제도의 성립-그 사회적 조건에 관한 연구」
    심오석(2003),「강릉단오제 현대전승양상 연구」,중앙대학교 석사논문

    網站
    문화재청:http://www.cha.go.kr/cha/idx/Index.do?mn=NS_01
    강릉시청:http://www.gangneung.go.kr/main_new/main.jsp
    강릉단오제위원회: http://www.danojefestival.or.kr/default_b.asp
    강릉단오제보존회 :http://danoje.or.kr/web/main.html
    강릉단오문화원:http://www.danocenter.kr/
    디지털 강릉문화대전:http://gangneung.grandculture.net/?local=gangneung
    한반도 단오문화 종합정보:https://danoculture.gn.go.kr/
    문화콘텐츠.com:http://www.culturecontent.com/main.do
    네이버 지도(검색어:강릉): http://map.naver.com/
    한국의 집:http://www.koreahouse.or.kr/main/?load_popup=1
    한국문화의 집:http://www.kous.or.kr/
    자인단오제보존회:http://jaindano.or.kr/
    법성포단오제보존회:http://bspdanoje.co.kr/
    한국관광공사:http://big5chinese.visitkorea.or.kr/cht/SI/SI_CH_2_13.jsp?cid=1735430
    연합뉴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766778
    News 1뉴스:http://news1.kr/articles/?2320166
    Description: 碩士
    國立政治大學
    韓國語文學系
    101557005
    Source URI: http://thesis.lib.nccu.edu.tw/record/#G0101557005
    Data Type: thesis
    Appears in Collections:[韓國語文學系] 學位論文

    Files in This Item:

    File SizeFormat
    700501.pdf4966KbAdobe PDF21145View/Open


    All items in 政大典藏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社群 sharing

    著作權政策宣告 Copyright Announcement
    1.本網站之數位內容為國立政治大學所收錄之機構典藏,無償提供學術研究與公眾教育等公益性使用,惟仍請適度,合理使用本網站之內容,以尊重著作權人之權益。商業上之利用,則請先取得著作權人之授權。
    The digital content of this website is part of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Institutional Repository. It provides free access to academic research and public education for non-commercial use. Please utilize it in a proper and reasonable manner and respect the rights of copyright owners. For commercial use, please obtain authorization from the copyright owner in advance.

    2.本網站之製作,已盡力防止侵害著作權人之權益,如仍發現本網站之數位內容有侵害著作權人權益情事者,請權利人通知本網站維護人員(nccur@nccu.edu.tw),維護人員將立即採取移除該數位著作等補救措施。
    NCCU Institutional Repository is made to protect the interests of copyright owners. If you believe that any material on the website infringes copyright, please contact our staff(nccur@nccu.edu.tw). We will remove the work from the repository and investigate your claim.
    DSpace Software Copyright © 2002-2004  MIT &  Hewlett-Packard  /   Enhanced by   NTU Library IR team Copyright ©   - Feed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