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어) 1. 고영진(1997), “한국어의 문법화 과정- 풀이씨의 경우”, 어학연구6-1, 서울:서울대 2. 국립국어원(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 용법편”,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3. 김미영(1998), “국어 용언의 접어화”, 서울:한국문화사 4. 김성화(1991), “국어의 상 연구”, 서울:한신문화사 5. 김지은(1998), “우리말 양태용언 구문 연구”, 서울:한국문화사 6. 박선옥(2005), “국어 보조동사의 통사와 의미 연구”, 서울:역락. 7.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2010), “한국어3”, 서울:[주]문진미디어. 8. 손세모돌(1996), “국어 보조용언 연구”, 서울:한국문화사. 9. 안주호(1997),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서울:한국문화사 10. 이성하(1998), “문법화의 이해”, 서울:한국문화사. 11. 임호빈(2010),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서울:연세대학교출판부.
(중국어) 1. 房玉清(2008),實用漢語語法,北京:北京語言大學出版社。 2. 鄧守信(2011)譯,劉月華、潘文娛、故韡 著,實用現代漢語語法,台北:師大書院有限公司。 3. 呂叔湘(1980),現代漢語八百詞,北京:商務印書館。
학위 논문 1. 박주형(2013), “보조용언의 문법화와 어휘화 연구”,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 소림(2011), “한국어 ‘가다/오다’의 중국어 대응 형식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3. 웨이자오(2013), “한국어와 중국어 상의 문법화 대조 연구-‘-(고) 있-’과 ‘著’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4. 이남(2009), “한국어 보조용언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있다, 가다, 오다’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5. 이양(2014), “한국어 보조동사 ‘-어 가다, -어 오다’에 대한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6. 장용(2011), “한국어 ‘오다/가다’와 중국어 ‘來/去’의 비교 연구”,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7. 최대희(2002), “국어 풀이씨의 문법화 과정 연구”,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학술 논문 1. 박선옥(2004), “외국어로서 한국어 보조동사 ‘가다’와 ‘오다’의 교육”, 漢城語文學, 제23집, pp. 161~186 2. 왕례량(2006), “한국어 보조용언과 중국어와의 대조 연구”, 문법 교육 5, 한국문법교육학회, pp. 261~297 3. 이남(2010), “한국어 ‘가다, 오다’와 중국어 대응 표현연구”, 문창어문논집, Vol: 47, pp. 109~130 4. 이연옥(2011), “이동 동사 ‘가다/오다’의 사용 양상에 대한 고찰 - 중국어 이동 동사 ‘去/來’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학술대회, pp. 31~39. 5. 최해주(2006),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보조용언의 의미 범주 설정 및 그 활동 방안”, 새국어교육 74, 한국국어교육학회, pp. 125~159 6. 호광수(1999), 보조용언의 문법화 과정, 조선대 인문과학연구, 제21집, pp. 391~409
사전 (한국어) 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2009)『고려대 한국어대사전』 2. 국립국어연구원(1999)『표준국어대사전』 3.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1998)『연세 한국어사전』 4. 이희자, 이종희(2008), “한국어 학습 학습자용 어미‧조사 사전”, 서울:한국문화사
(중국어) 1. 中国社会科技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1997) ,現代漢語辭典,北京:商務印書館。 2. 周行健(1997) ,現代漢語規範用法大辭典,学苑出版社。 3. 辭海編輯委員會 (1999) ,辭海,上海:上海辭書出版社。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