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 | 一、中文部分 危正芬(1991)。關係取向、交往原則與道德判斷的文化比較研究。台大心裡研究所碩士論文。 余佳倩(2001)。性別刻板印象的覺察與鬆動之研究: 以大一女性學生為例。碩士論文-國立東華大學教育研究所。 黃小玲(1995)。外表、聲音與性別角色對異性吸引之影響。政大心理研究所碩士論文 李美枝(1981)。性別特質問卷的編制及男女大學生四種性別特質類型在成就動機、婚姻、事業及性態度上的比較。中華心理學刊,23(1),23-27。 李美枝、鐘秋玉(1996)。性別與性別角色析論。本土心理學研究,6,260-299。 林邦傑(1981)。性別角色與自我概念、生活適應、認知能力的關係,中華心理學刊,23(2),107-129。 林宜親(1999)。青少年體型意識與節制飲食行為之研究。國立台灣師範大學家政教育研究所。 洪嘉謙(2001)。大專女性性別角色與身體形象關係之研究。靜宜大學青少年兒童福利學系碩士論文 翁慧娟(1994)。個人取向、集體取向與心理健康的關係。政大教育所碩士論文。 張春興(1989)。張氏心理學辭典。台北市:東華出版社 張春興(1991)。現代心理學。台北市:東華出版社 陳侑汶(1991)。美貌刻板印象與人格特質形成的影響。私立輔仁大學織品服裝研究所碩士論文。 黃小鳳(2001)。性別角色刻板印象、晉升者性別及平權意識喚起對晉升決策的影響。國立政治大學心理學研究所。 楊守城(2002)。外表吸引力對自我評價的影響-談相似性與自我層面的調節作用。中原大學心理學碩士論文。 劉翠華(1994)。男女大學生的外表吸引力知覺與自我意識關係之研究。政大教育所碩士論文。 二、英文部分 Antill, J. K. (1983). Sex role complementarity versus similarity in married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 145-155. Ashmore,R.D(1990).Sex, gender, and the individual. In A.Pervin(Ed.),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The Guilford. Burns,G.L. & Farina,A. (1987). Physical attractiveness and self-perception of mentel disorder. Joural of Abonormal Psychology,96(2),161-163 Cash, T. F. (1994). The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Unpublished manuscript. Cash, T. F., wood, K. C., Phelps, K. D., & Boyd, K. (1991). New assessment of weightrelated body image derived form extant instruments. Perceptual and Motors Skills, 73. 235-241. Cash, T.F., & Pruzinsky, T. (Eds.)., (1990). Body image development deviance and change. New York : Guilford, Inc. Cash, T. F., Winstead, B. A., & Janda, L. H. (1986). Body image survey report: The great American shape-up. Psychology Today, 20, 30-37. Cash, T.,& Pruzinsky,T.(1990). Body images: development, deviance,and change. New York: Guilford. Hui, C. H. (1988). Measurement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J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2, 17-36 Hui, C. H., & Triandis, H. C. (1986). Individualism-collectivism : A study of cross-cultural researcher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17(2) , 225-248 Hui, C. H., & Triandis, H. C. (1985). Measurement in Cross-Cultural Psychology: A revew and comparison of strategies. Journal of Cross- Cultural Psychology, 16, 131-152. Lennon,S.J. & Davis,L.L. (1988). Evaluations of apparel advertising as a function of self-monitoring.Perceptual and Moter Skills,66,987-996 Miller,L.C. & Cox,C.L.(1982). For appearance sake:Pubilic self-consciousness and make up use.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46(2,)469-478 Schilder,P.(1950). The image and appearance of the human body. New York: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Schwartz, S. H. (1990). Individualism-collectivism: Critique and proposed refinemen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1(2), 139-157. Triandis, H. C., Bontempo, R., Villareal, M. J., Asai, M., & Lucca, N.(1988).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 Cross-cultural perspectives on self-ingroup relationshi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2), 323-338. Triandis, H. C., Leung, K., Villareal, M. J., & Clack, F. L. (1985). Allocentric vs idiocentric tendencies: Convergent and discriment validation. J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 395-415 Triandis, H. C., McCusker, C., & Hui, C. H. (1990). Multimethod probe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5), 1006-1020. Triandis, H. C., & Vassiliou, V. (1972). A Comparative analysis of subjectve culture, In H. C. Triandis(Ed.), The analysis of subjective culture (pp.299- 338). New York ; Viley. 三、韓文部分 강혜원(1995).「의상사회심리학」.교문사 구민요(1996). 한국과 대만 대학생의 개인-집합주의 특성과 가치관의 차이.한양대학교 대학원 권대순(1999). 한국미용문화의 변천과 소비행태연구-헤어 디자인 및 미용실 경영을 중심으로-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광경 외(2001). 다차원적 신체이미지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25(2) 358-365 김용주(1999). 여대생의 신체이미지에 따른 의복추구혜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주(2000).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숙례(2000). 성인여성의 화장품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희란(2001). 대학생의 성별 및 성역할정체감과 진로자아효능감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박은아(1993). 대학생의 미디어 이용형태와 성역할(gender role)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신동미(1999). 대학생의 진로자아효능감에 대한 성별 비교- 컴퓨터 자아 효능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진(1981). 남녀 차이에 대한 심리학적 한 고찰: 성력할 사회화과정과 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 15집, 21-35 이영주(1999). 여대생의 체중조절행동과 의복만족도 및 신체노출의복행동의 관련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홍표(1994).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지각된 소외감의 관련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임숙자‧이미현‧이승희‧신효정(2000). 바디이미지, 교문사. 전영신‧한명숙(2000). 여고생의 자아이미지와 의복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6(1), 64-109 조선명(2000).외모에 대한 사회. 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효정(2002). 현대 여성의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질적 연구- 화장,헤어스타일, 신체이미지, 성형수술, 의복 중심으로-건국대학교 대학원 논문. 최창희(1993). 조직시만행동의 차원 규명 그리고 조직공정성 및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한설아(1998). 여성의 외모관리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다이어트경험을 중심으로-.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지성(0992).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에 관한 고차문화적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진숙(1998).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이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22(3).p 293-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