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 이 글은 조선 문인들이 북경 지방지를 접하게 된 시기와 경로를 고찰하고, 연행록에서 북경 지방지를 인용한 사례를 분석하며, 나아가 북경 지방지를 단서로 연행록문헌의 내부적 전승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18세기 말에 북경으로 간 사신들은 그곳의 서점에서 비로소 『제경경물략(帝京景物略)』, 『춘명몽여록(春明夢餘錄)』, 『일하구문고(日下舊聞考)』 등 북경 지방지를 접하게 되었다. 이 지방지들은 북경의 연혁, 궁궐, 명승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조선 사신들이 중국을 이해하고 연행록을 창작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되었다. 19세기에 이르러서는 북경 지방지가 일부 조선 문인들의 개인 소장 서적이 되었고, 때로는 곧 북경으로 떠나는 사신들에게 빌려주기도 했다. 연행록을 창작할 때 북경 지방지는 주로 북경의 지리, 역사, 인물 등의 정보를 보완하거나 고증하는 데 사용되었다. 북경 지방지를 인용한 연행록은 후대 사람들이 읽었고, 다시 후대의 연행록에 재인용되면서 연행록 문헌이 대대로 전승되는 중요한 내용이 되었다 조선 사신들이 해외 여행기를. 창작할 때 이러한 문헌을 어떻게 인용했는지 고찰하는 것은 조선 문인들이 중국 문헌을 어떻게 수용하고 활용했는지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며, 동아시아 지식의 순환과 전파를 엿볼 수 있는 창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eriod and channels through which Joseon literati encountered Beijing local gazetteers, analyzes the citations of these gazetteers in Yeonhaengrok, and subsequently traces the internal transmission of Yeonhaengrok literature using Beijing gazetteers as a clue. In the late 18th century, Joseon envoys first encountered Beijing local gazetteers in Beijing bookstores. These gazetteers, such as Dijing jingwu lüe, Chunming mengyulu, and Rixia jiuwen Kao, meticulously documented Beijing's history, palaces, and strategic locations. They immediately became crucial references for the envoys to understand China and to compose their Yeonhaengrok. By the 19th century, Beijing local gazetteers had even become part of the private collections of some Joseon literati, occasionally being lent to envoys traveling to Beijing. In the creation of Yeonhaengrok, Beijing gazetteers were frequently used to supplement or verify information concerning Beijing's geography, history, and prominent figures. Furthermore, Yeonhaengrok that cited Beijing gazetteers were read by later generations and subsequently re-cited in later Yeonhaengrok, thereby becoming a significant element in the generational transmission of Yeonhaengrok literature. Examining how Joseon envoys cited these documents when writing their travelogues will provide crucial insights into how Joseon literati received and utilized Chinese literature, and also offer a glimpse into the circulation and dissemination of knowledge in East As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