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大機構典藏-National Chengchi University Institutional Repository(NCCUR):Item 140.119/138980
English  |  正體中文  |  简体中文  |  Post-Print筆數 : 27 |  全文筆數/總筆數 : 113974/145000 (79%)
造訪人次 : 52015925      線上人數 : 444
RC Version 6.0 © Powered By DSPACE, MIT. Enhanced by NTU Library IR team.
搜尋範圍 查詢小技巧:
  • 您可在西文檢索詞彙前後加上"雙引號",以獲取較精準的檢索結果
  • 若欲以作者姓名搜尋,建議至進階搜尋限定作者欄位,可獲得較完整資料
  • 進階搜尋
    請使用永久網址來引用或連結此文件: https://nccur.lib.nccu.edu.tw/handle/140.119/138980


    題名: 應用邏輯斯迴歸(Logistic Regression)分析影響韓語閱讀⽂本難易度之特徵評估 —以 TOPIK I 及 TOPIK II 閱讀試題為例
    Using Logistic Regression to Evaluate the Features that Influence the Difficulty of Reading Korean Texts — Based on TOPIK I and TOPIK II Reading Tests
    作者: 江柔
    Jou, Chiang
    貢獻者: 朴炳善
    Park, Byung-Sun
    江柔
    Chiang Jou
    關鍵詞: 韓語閱讀
    邏輯斯迴歸分析
    文本難易度
    影響特徵
    韓國語能力測驗
    Korean reading text
    Logistic Regression
    The difficulty of reading text
    Feature
    TOPIK
    日期: 2021
    上傳時間: 2022-02-10 13:16:16 (UTC+8)
    摘要: 本研究以韓國語文能力檢定(한국어능력시험, TOPIK)TOPIK I 和 TOPIK II 閱讀 試題的題幹為例,觀察影響韓語閱讀文本難易度的特徵,以邏輯斯迴歸分析(Logistic Regression)找出影響韓語閱讀文本難易度的主要要素。讓教師在教學 TOPIK 閱讀試題 時,可以先了解影響韓語閱讀文本難易程度較多的特徵,來提高教學的效率。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sing Logistic Regression to evaluate the features that influence the difficulty of the Korean reading texts based on TOPIK I and TOPIK II reading tes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improve Korean reading education that the teachers can focus on the features of the difficulty in Korean reading texts.
    參考文獻: 강범모·김홍규·허명회(1998), 「통계적 방법에 의한 한국어 텍스트 유형 및 문체 분석」,
    『언어학』(22),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pp. 3-57.
    강현화(2014b), 「국내 한국어교육기관 교재 어휘 분석 연구 1 -양적 분석을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41 권 0 호,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pp. 37-60.
    강현화(2015), 「한국어 교재의 숙달도별 품사 분석 연구: 국내 교육기관 교재를 중심으
    로」, 『외국어교육』제 22 권 제 1 호, pp. 327-344.
    고승연(2015), 「한국어교육에서 이독성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어문화교육』 제 9
    권 1 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pp. 1-27.
    고승연(2018), 「이독성 공식 개발을 위한 어휘 목록과 문법 항목의 기대 요인 선정」,
    『한국어문화교육』 제 11 권 2 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pp. 1-24.
    구민지(2011), 「읽기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 연구 -학문목적 한국어 고급 읽기 교재 수록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 제 22 권 제 2 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
    1-22.
    구민지(2012), 「한국어 읽기 교육 이해질문 분석 연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이해질문을 대상으로」, 『새국어교육』 제 92 권 92 호, 한국국어교육학회,
    pp. 495-522.
    구민지·양길석(2013), 「한국어 읽기 텍스트 난이도 판별분석」, 『이중언어학』 제 52 호,
    이중언어학회, pp. 1-18.
    김경령(2009), 「Lectio 수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읽기 능력 연구」, 『이중언
    어학』 제 41 호, 이중언어학회, pp. 27-55.
    김성애·주지선(2016),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연어학습사전』, 소통. 김영규·이승은·이지은(2009), 「상세화를 통한 한국어 텍스트의 이독성 향상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 제 41 호, 이중언어학회, pp. 57-81.
    김유정(2006), 「한국어능력시험의 난이도 분석 연구 -제6회~제8회 시험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17 권 1 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 1-26.

    김의수·김태성(200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 교재의 문장 분석」, 『언어학 연구』 (14), 한국중원언어학회, pp. 39-67.
    김의수·정은주(2009), 「TOPIK 읽기 영역 지문의 난이도와 균질성에 관한 통사론적 접 근」, 『한국언어문학』 제 71 집, 한국언어문학회, pp. 189-213.
    김의수·정한네(2009), 「한국어 교재를 구성하는 텍스트의 통사론적 난이도와 균질성 연구 – 『한국어』(서울대)의 본문, 듣기, 읽기를 중심으로-」, 『어문론총』 제 51 호, 한 국문학언어학회, pp. 1-33.
    김의수·양지연(2010), 「국어교육 교재와 한국어교육 교재 간의 접점 연구 – 문장의 통사 론적 난이도를 중심으로-」, 『문법 교육』 제 12 집, 한국문법교육학회, pp. 139- 171.
    김장식(2012),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텍스트의 이독성 분석 연구」, 『한국어문화교 육』 제 6 권 1 호, 한국어문화교육학회, pp. 1-24.
    김중섭(2017),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4 단계)』, 국립국어원. 김현진(2015), 「한국어 교육용 관용 표현 연구」, 『한국어와 문화』제 17 집, pp.99~129. 김해인·김동욱(2016), 「텍스트 난도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어문교육』 제 19 호, 고
    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pp. 109-124.
    김혜영(2011), 「한국어 교육에서 수준별 시 텍스트 선정을 위한 연구 -텍스트 위계화를
    위한 변인에 대한 고찰-」, 『한국어 교육』 22 권 4 호, pp. 216-246. 남주연·김영주·김양희(2017), 「한국어 학습자의 문어 어휘 다양성 연구 -구어 어휘 다양
    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어 의미학』55, 2017.3, pp.1-28.
    노명완(1994), 「읽기의 관련 要因과 효율적인 읽기 指導」, 『二重言語學會誌』 11, 이중
    언어학회, pp. 171-198.
    박은정·조성준(2014), 「KoNLPy: 쉽고 간결한 한국어 정보처리 파이썬 패키지」, 『제 26
    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pp.133-136.
    백수자(1994), 「독해의 본질과 읽기 교재의 관계」, 『國語教育學研究』 4, 국어교육학회,
    pp. 143-174.
    박순원(2011), 「국어교육: 독서지수의 활용 방안 연구」, 『새국어교육』 87 권 0 호, 한국
    국어교육학회, pp. 37-58.


    박정진(2018), 「이독성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자료의 수준 설정 가능성 탐색」, 『현대 사회와다문화』 제 8 권 제 2 호,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pp. 1-22. 서혁(2011),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Text Complexity) 상세화 연구
    (1) -텍스트 복잡도 연구의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 제 42
    집, 국어교육학회, pp. 433-460.
    서혁·류수경(2011), 「국어 교과서 텍스트의 유형과 복잡도」, 『국어교육학연구』 제49집
    제 1 호, 국어교육학회, pp. 445-470.
    서혁 외(2013),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Degree of Text Complexity)
    상세화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제 47 집, 국어교육학회, pp. 253-290. 심인선(2020),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성인학습자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요인 탐색 연
    구」, 『문화예술교육연구』 제 15 권 제 3 호, pp. 27-49.
    신정하(2016b),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 텍스트의 난이도 연구 -TOPIK II 의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제 62 호, 이중언어학회, pp. 29-48. 안경화(1999), 「한국어 어휘의 학습 난이도 측정 방법에 대하여」, 『언어학』 25권 0호,
    한국언어학회, pp. 167-184.
    우형식·김수정(2011), 「확장형 읽기 활동을 위한 한국어 읽기 자료의 선정과 등급 구
    분」, 『이중언어학』 제 45 호, 이중언어학회, pp. 133-165.
    윤영선(1975), 「韓國語의 構造的 變因들의 分析과 國民學校·中學校 教科書를 中心으로 한
    文章難易度公式의 開發」, 『연구논문집』 8 권, 성신여자대학교, pp. 1-25. 이보미(2020), 「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난이도 측정 공식 개발에 관한 연구」, 『외국어로
    서의 한국어교육』 56,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pp. 321-351.
    이상린(2012),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평가 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리어문연
    구』 43 집, 우리어문학회, pp. 255-279.
    이상영(2011), 「초등 교과서의 이독성 비교 연구 -국어, 사회,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연구』 제 41 집, 국어교육학회, pp. 169-193.
    이소현(2020), 「텍스트 난이도 측정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용 텍스트의 난이도
    분포 연구」, 『우리어문연구』 68 집, 우리어문학회, pp. 425-450.
    이순영(2011), 「텍스트 난도와 텍스트 선정에 관한 독자 요인 -초·중·고등학교 독자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한 시론-」, 『독서연구』 제 26 호, 한국독서학회, pp. 61-96.


    이승찬·최예슬(2019), 「웹 기반 텍스트 복잡성 자동 측정 프로그램 개발」, 『한국어교 육』 3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 163-180.
    이홍매(2009), 「이해 변인에 의한 학습자 중심 한국어 읽기 수업의 구성 방안」, 『한국 언어문화학』 제 6 권 제 2 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 133-163.
    이흥수(1985), 「문장의 이독성에 대한 측정모형」, 『영어영문학』 31권 2호, 한국영어영 문학회, pp. 321-337.
    임성규(1992), 「국민학교 교과서의 문장 난이도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8 집, 한국 초등국어교육학회, pp. 77-106.
    임성규(1993), 「교재 기술에서 글의 난이도 측정법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9 권 0 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pp. 265-286.
    정혜승(2010), 「글 난도(difficulty) 평가를 위한 질적 방법 연구」, 『국어 교육』 131, 한 국어교육학회, pp. 523-549.
    조석주(1983), 「Readability 공식의 개관」, 『영어영문학』 29 권 2 호, 한국영어영문학회, pp. 499-514.
    조석주(1985), 「교과서 문장의 Readability」, 『영어교육 제 29, 30 호, 한국영어교육학회, pp. 93-114.
    조승겸 외(1988), 「한글 讀易性 測定方法으로서 CLOZE 檢查의 妥當性에 관한 實驗研 究」, 『언론정보연구』 제 25 집,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pp. 135-162.
    조용구·이창근·최규홍·천경록(2020), 「국어 텍스트 난이도 분석 프로그램(KReaD)의 신뢰도 검증」, 『리터러시연구』11(6), pp. 467-485.
    진정·서혁(2017), 「한·중 중급 한국어 교재의 텍스트 복잡도 비교 분석 연구: 텍스트 내적 요인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45, 한국독서학회, pp. 101-129.
    차배근(1988), 「國文讀易性 測定方法 開發을 위한 序說的 小考」, 『언론정보연구』 25,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pp. 113-132.
    최성규(1995), 「가독성에 영향을 주는 독서재 요소의 연구 -시사 월간지의 본문을 중심 으로-」, 『기초과학지』 7 권 0 호, 경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pp. 285-302. 최인숙(2005a), 「독서교육시스템을 위한 텍스트수준 측정 공식 구성 관한 연구」, 『정보
    관리학회지』 제 22 권 제 3 호, 한국정보관리학회, pp. 213-232.
    최인숙(2005b), 「텍스트의 언어적 난이도 측정 공식 비교 연구 -초중고 교과서를 중심으
    로-」, 『정보관리학회지』 제 22 권 제 3 호, 한국정보관리학회, pp. 173-195.

    최정순(1999), 「학습이론과 이독성에 바탕한 읽기수업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 육』 24,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pp. 49-70.
    최천택(1995), 「Readability: Theory and Application」, 『한신논문집』 제 12 집, 한신대학교 출판부, pp. 311-348.
    홍정하·유원호·강병규(2018), 『R 을 이용한 코퍼스 언어학 연구 -한국어, 영어, 중국어 시 제와 상 연구를 중심으로』, 역락.
    홍정하·최재웅·유석훈(2011), 「텍스트 수준과 가독성: 한국어 학습 교재를 이용한 검증과 응용」, 『언어정보』 12,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pp. 111-148.
    Daniel Jurafsky & James H. Martin(2021), Logistic Regression,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3rd ed. draft), Chapter 5, pp.1-21.
    P. M. McCarthy and S. Jarvis(2010), MTLD, vocd-D, and HD-D: A validation study of sophis ticated approaches to lexical diversity assessment, Behavior Research Methods, 42, pp. 381-392.
    <학위논문>
    고경은(2012), 「이독성 공식의 보완을 위한 학습자 배경지식 위계화 방안 연구」,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구민지(2013),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장식(2011),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텍스트의 이독성 분석 연구」, 부산외국어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지연(2017),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텍스트의 난이도 분석 연구: 문장 갈이와 문
    장 구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하령(2008), 「읽기과정 중 과제 유형과 텍스트 유형이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
    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아(2017), 「이독성 공식을 이용한 한국어 교재 텍스트 분석 연구 한국어 교재 텍스
    트 분석 연구 -초급과 중급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모엽청(2018), 「한국어능력시험(TOPIK II) 읽기 영역 텍스트 난이도 분석 -어휘 난이도와
    문법 난이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병선(2003) , 「국어 공기관계의 계량언어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윤신(2005), 「한국어 읽기 지문 속에 나타난 학습 어휘·문법 요소 연구 -중급 교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수희(2009),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정하(2016a), 「한국어교육용 텍스트의 난이도 연구 -제보적 기능을 중심으로-」, 고려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지연(2010), 「한국어교육 교재와 국어교육 교재의 문장 난이도 비교 연구」, 한국어외 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혜진(2011), 「열린 읽기 활동을 위한 한국어 읽기 자료의 이독성 연구」, 부산외국어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혜숙(2014), 「읽기 텍스트 난이도 결정 요인 연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 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창욱(2006), 「비문학 지문 이독성 공식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은(2008), 「이독성을 높이기 위한 텍스트 수정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혜진(2007), 「문장의 단어 수와 구조를 통한 글 형식 난도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눈문.
    유미상(2007),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학습을 위한 한자어 접사 및 파생어 선정에 관한 연구 -말뭉치를 기반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혜(2009), 「Dale-Chall 의 이독성 공식을 이용한 한국어 읽기 텍스트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미경(2012),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난이도 평가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성재(2017), 「분산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대용량 데이터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아 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은주(2010),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 영역 지문의 통사론적 난이도 연구」, 한국 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한네(2010), 「한국어 교재의 통사론적 난이도 연구 -서울대 『한국어』와 『연세한국 어』를 대상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혜윤(2017), 「Rasch 다국면 측정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이독성 측정 방 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지근(2014),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선정 방안 연구 -문장 구조 이독성 및 주제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林郁馨,2017,《Logistic regression 在多分題差異試題功能之檢測及效果量之計算》,碩士論 文,國立中正大學。
    郭雅雯,2014,《國小學童英語學習成效表現影響因子評估-使用邏輯斯迴歸模型與類神經網 路建立預測模型》,碩士論文,國立高雄應用科技大學。
    張弘毅,2010,《日語閱讀難易度判別系統運用於讀本詞彙分析之研究 ―以日語分級讀本和 童話故事文本為主―》,碩士論文,元智大學。
    陳于佳,2012,《中文文本可讀性特徵選取與模型建立 - 以華語為第二語言教材為例》,碩 士論文,國立臺灣師範大學。
    陳采蓉,2020,《應用類神經網路和邏輯斯迴歸分析來預測膀胱鏡檢查後導致泌尿道感染的機 率》,碩士論文,國立嘉義大學。
    顏秀純,2017,《分析比較「臺灣國中英語教科書」與「英文童書」的可讀性及字彙涵蓋 量》,碩士論文,國立臺灣師範大學。
    <인터넷 자료>
    [딥러닝] 선형회귀와 로지스틱회귀: https://ebbnflow.tistory.com/129 한국어능력시험(TOPIK) 공식 홈페이지: www.topik.go.kr
    KoNLPy 공식 페이지: https://konlpy.org/ko/v0.5.2/morph/
    描述: 碩士
    國立政治大學
    韓國語文學系
    107557004
    資料來源: http://thesis.lib.nccu.edu.tw/record/#G0107557004
    資料類型: thesis
    DOI: 10.6814/NCCU202200051
    顯示於類別:[韓國語文學系] 學位論文

    文件中的檔案:

    檔案 描述 大小格式瀏覽次數
    700401.pdf32237KbAdobe PDF2175檢視/開啟


    在政大典藏中所有的資料項目都受到原著作權保護.


    社群 sharing

    著作權政策宣告 Copyright Announcement
    1.本網站之數位內容為國立政治大學所收錄之機構典藏,無償提供學術研究與公眾教育等公益性使用,惟仍請適度,合理使用本網站之內容,以尊重著作權人之權益。商業上之利用,則請先取得著作權人之授權。
    The digital content of this website is part of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Institutional Repository. It provides free access to academic research and public education for non-commercial use. Please utilize it in a proper and reasonable manner and respect the rights of copyright owners. For commercial use, please obtain authorization from the copyright owner in advance.

    2.本網站之製作,已盡力防止侵害著作權人之權益,如仍發現本網站之數位內容有侵害著作權人權益情事者,請權利人通知本網站維護人員(nccur@nccu.edu.tw),維護人員將立即採取移除該數位著作等補救措施。
    NCCU Institutional Repository is made to protect the interests of copyright owners. If you believe that any material on the website infringes copyright, please contact our staff(nccur@nccu.edu.tw). We will remove the work from the repository and investigate your claim.
    DSpace Software Copyright © 2002-2004  MIT &  Hewlett-Packard  /   Enhanced by   NTU Library IR team Copyright ©   - 回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