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大機構典藏-National Chengchi University Institutional Repository(NCCUR):Item 140.119/134168
English  |  正體中文  |  简体中文  |  Post-Print筆數 : 27 |  Items with full text/Total items : 113303/144284 (79%)
Visitors : 50799169      Online Users : 454
RC Version 6.0 © Powered By DSPACE, MIT. Enhanced by NTU Library IR team.
Scope Tips:
  • please add "double quotation mark" for query phrases to get precise results
  • please goto advance search for comprehansive author search
  • Adv. Search
    HomeLoginUploadHelpAboutAdminister Goto mobile version
    Please use this identifier to cite or link to this item: https://nccur.lib.nccu.edu.tw/handle/140.119/134168


    Title: ‘이다’句和‘是’字句對比及使用情況研究
    A Study on the Comparison and Usage of Sentences in Korean copula `ida` and Chinese copula `shi`
    Authors: 崔美羅
    Choi, Mi-Ra
    Contributors: 朴炳善
    崔美羅
    Choi, Mi-Ra
    Keywords: 繫辭
    ‘이다’句
    ‘是’字句
    語料庫
    語意功能
    語法功能
    使用情況
    Copula
    ‘ida’ sentence
    ‘shi’ sentence
    Corpus
    Semantic functions
    Grammatical functions
    Usage
    Date: 2021
    Issue Date: 2021-03-02 14:48:58 (UTC+8)
    Abstract: 繫詞在大部分的語言中基本上都表示"確認"和"屬性"的意思,並具有連接主詞和補語的語法功能。"이다"和"是"有共同點,就是在韓文和中文中起到連接主詞和補語的繫詞作用。但是,由於韓文和中文屬於不同的語言系統,因此作爲繫詞的語意功能和語法結構不同。這些差異會引起學習者的混亂。因此,爲了正確理解和使用"이다"和"是"字句,需要分析兩句的語意上的、語法上的對照和使用情況。 本研究的目的是透過對比方式確認"이다"和"是"的特性和功能。
    本篇論文將"이다"句的語意功能分爲確認句、屬性句、存在及領有句、數量及時間句、分裂句、習用語句、模態句、提示句、隱含語意句等共9種功能,以瞭解與"是"字句的應對關係。通過這樣的語意對照可以看出,"이다"句和"是"字句如果表示繫詞的基本類型確認和屬性敘述,大體上會表現出相互對應的關係。相反,模態語意、習用語意等與基本類型有距離的句子則很難形成相互對應關係。
    爲了瞭解"이다"句和"是"字句的語法特性,對照主詞和補語位置上可以結合的成分了。以"이다"的句子爲例,主詞位置只能接名詞性成分,但"是"字句的話,主詞位置除了名詞性成分之外,也可以接動詞短語、形容詞短語、小句等非名詞性成分。
    "이다"句的補語位置上名詞性成分之外,也可以使用副詞、助詞、詞尾、成語等更多的成分。"是"字句的補語位置,可以接比"이다"句更多樣的成分, 例如, 動詞短語, 形容詞短語、小句、連接詞、介詞短語、成語、 “的”字句等。
    這種語意功能及語法功能實際上如何出現,爲了確認實際使用情況,韓國國立國語院的世宗21 語料庫和臺灣中央研究院的sinica 語料庫書面資料(新聞報道-社會)中選取了1,000個例子進行了分析。分析結果顯示,確認、屬性等繫詞的基本語意功能的分佈率在兩個句子中都顯示出75%以上的高使用頻率,這代表韓文"이다"句和中文"是"字句的主要功能是繫詞功能。
    觀察了"이다"和"是"的前後位置可以結合的成分,發現這兩個句子都是結合名詞性成分的分佈率最高,這證明了至今爲止兩個句子的基本句型被討論爲" ‘NP1이 NP2이다"和"NP1是NP2"的合理性。
    以"이다"爲例,與名詞性成分的結合高達98%,從這一點來看,"이다"句在Pustet(2003)中提出的4種繫詞結合類型中屬於只結合名詞的類型。 "是"字句是除名詞性成分外,與動詞(短語)、形容詞(短語)、介詞短語、連接詞、小句等非名詞性成分結合的佔43.4%,幾乎佔了一半。由此,可以解釋爲"是"字句是Pustet(2003)的繫詞結合類型中,與名詞、形容詞、動詞都可以結合的類型。
    Copula basically means "identificational" and "ascriptive" has grammatical functions that connect the subject and complement in many languages, "ida" and "shi" have the same meaning as a copula that connects the subject and complement words in Korean and Chinese. However, since Korean and Chinese are different languages, the meaning and grammar of a copula are different. These differences can cause confusion among the learner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and use the words "ida" and "shi" correc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mantic, grammatical contrast and use of the two sentences, an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each sentence.
    In this paper, the semantic functions of "ida" sentence are divided into nine functions: identificational, ascriptive, existence and possessional, quantity and temporal, cleft sentence, idioms, modality, thetic and illogical, so as to understand. As a result, the sentences "ida" and "shi" represent the basic type "identificational" and "ascriptive" description of Copula, and generally show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Conversely, it has tended to be difficult to form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in cases such as modality and idiomatic meanings that are distant from the underlying typ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ida" and "shi" sentences, compared the elements of the complement position. In addition to, the noun elements of the complement of the sentence "ida", more complicated elements such as adverbs, auxiliary words, suffixes and idioms can be used. In the sentence "shi", the complement can be used more than the sentence `ida`, e.g., verb phrase, adjective phrase, clause, conjunction word, preposition phrase, idiom, "de` sentence, etc.
    In order to confirm the actual usage, I selected 1,000 examples from Sejong 21 Corpus of the Korea and Sinica Corpus of the Taiwa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rate of basic semantic functions of the determinants of "identificational" and "ascriptive" was more than 75 % in both sentences. It means that the main function of "ida" in Korean and "shi" in Chinese is the copula.
    Finally, the analysis of complement components of "ida" and "shi" showed that the ratio of "ida" to nominal components was as high as 98%. The ratio of "shi" to non-noun components such as verbs and adjectives is 43.4%. Therefore, in the conjunctive type of Pustet (2003), the sentence "ida" can be interpreted as the binding type of conjunction with "noun" and the "shi" sentence can be interpreted as the binding type of conjunction with "noun, adjective, verb".
    Reference: 참고 문헌

    한국어 문헌
    강범모(2011), 「언어, 컴퓨터, 말뭉치 언어학」, 고려대학교출판부.
    고영근‧남기심(2014), 「표준국어문법론」, 도서출판 박이정.
    고명이(2016),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 `명사 서술어` 실현 대조연구 : 계사(繫辭)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석사논문
    고창수(1992), 「국어의 통사적 어형성」, 『국어학』22, 국어학회, pp259-269.
    김광해(1983), 「계사론」,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기념 논문집』, 보진재, pp1-12.
    김건희(2017), 「이의 형용사설에 대한 재고찰 파생명사(N+적)+이다의 부정형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42(1), 한국언어학회, pp 1-23.
    김기혁(2006), 「국어 지정문과 존재문의 상관성」, 『한글』271, 한글학회, pp51-76.
    김기혁(2007), 「국어 형용사 서술문과 명사 서술문의 상관성」, 『이중언어학』35권, 이중언어학회, pp27-47.
    김승곤(1986), 「풀이자리토씨 "이다"에 대한 한 고찰」, 『한글』191, 한글학회, pp39-52.
    김영희(2000), 「쪼갠문의 기능과 통사」, 『어문학』2000.2, 한국어문학회, pp 65-90.
    김의수(2002), 「형식동사 `이다`의 문법」, 『어학연구』38(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pp879-905.
    김창섭(1984), 「形容詞 派生 接尾辭들의 機能과 意昧- `-답-,-스럽-,-롭-, 하-’ 와 `-的’의 경우」, 『진단학보』(58), 진단학회, pp145-161.
    남기심(1986), 「’이다’ 구문의 통사적 분석」, 『한불연구』191, 연세대학교 한불문화연구소, pp1-15.
    남길임(2003a), 「`이다`의 용법과 사전 기술」, 『한국사전학)』(2), 한국사전학회, pp247-273.
    남길임(2004), 『현대 국어 ‘이다’ 구문 연구』, 한국문화사.
    남길임(2006a), 「지정사 ‘이다’」,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pp269-300.
    남길임(2006b), 「말뭉치 기반 국어 분열문 연구」, 『형태론』 8권 2호, pp 339-360, 형태론.
    남길임(2009), 「텍스트 장르와 접미사의 사용 양상 ―‘-적’과 ‘-적’ 파생어를 중심으로―」, 『한글』(283), pp 63-91, 한글학회.
    남길임(2015), 「기술문법의 관점에서 본 "이다"의 결합 양상」, 『한말연구』 (38), pp77-103, 한말연구학회.
    동 뢰(2005), 「‘이다’의 범주적 성격-중국어 `시`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논문.
    목정수(1998), 「기능동사 `이다` 구성의 쟁점」, 『언어학』22, 사단법인한국언어학회, pp245-290.
    목정수(2006), 「韓國語 문법 체계에서의 ‘이다’의 正體性 - 기능동사 擁護論 -」, 『어문연구』34권 4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55-82.
    목정수(2010), 「계사 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 ‘(시적)이다/(유명)하다’의 정체」, 『시학과 언어학』19, 시학과 언어학회, pp99-125.
    박병선(2009), 「韓國語樣態表現體系에 따른 中國語表現의 特徵」, 『Journal of Korean Culture』13,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pp99-122.
    박정섭(2014),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계사 구문 연구」, 『프랑스어문교육』 제45집,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pp63-190
    박진호(2012), 「의미지도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요소와 문법요소의 의미 기술」, 『국어학』63권, 국어학회, pp459-519.
    박철우(2008), 「국어 분열문의 통사 구조」, 『한말연구』22권, 한말연구학회, pp77-96.
    백봉자(1999),『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서강보(2019),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이다`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석사논문.
    서상규(1998), 「말뭉치 분석에 기반을 둔 낱말 빈도의 조사와 그 응용-"연세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글』242, 한글학회, pp225-270.
    서정목(2009), 「대조분석의 새로운 역할과 과제」, 『언어과학연구』 50, 언어과학회, pp69-90.
    서정수(2005),『한국어의 부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石綿敏雄․高田誠 저, 오미영 역(1990) 『대조언어학』, 제이앤씨.
    성지철(1985), 「國語의 話階와 格式性」, 『언어』10(1), 한국언어학회, pp143-170.
    송창선(2007), 「현대국어 ‘이다’의 문법적 처리 ‘아니다’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어문학』98, 한국어문학회, pp121-157.
    시정곤(2002), 「최기용(2001)에 나타난 몇 가지 의문들」, 『형태론』4권2호, 형태론, pp339-348.
    시정곤(2005), 「`이다` 구문과 통사적 접사설을 다시 논의함」, 『한국어학』28, 한국어학회, pp55-80.
    시정곤‧김건희(2011), 「‘의존명사+이다’ 구문에 대한 양태적 고찰」, 『어문연구』 68, 어문연구학회, pp79-102.
    신서인(2006), 「구문분석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문형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논문
    신자영(2009), 「제2언어 교육을 위한 대조 분석 방법론 연구」, 『국제문화연구』2,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pp57-83.
    안명철(1995), 「‘이’의 문법적 성격 재고찰」, 『국어학』25, 국어학회, pp29-49.
    안주호(2004), 「N+이다 구성의 양태의미 연구」, 『담화와인지』11(1), 담화인지언어학회, pp149-172.
    양세욱(2006), 「중국어 계사(繫辭) "시(是)"의 기원(起源)과 재분석(再分析)」, 『중국문학』47권, 한국중국어문학회, pp131-153.
    양정석, 시정곤(2001), 「`이다`의 문법범주와 의미」, 『국어학』37권, 국어학회, pp337-366.
    양정호(2003), 「‘이다’의 문법범주에 대한 고찰」, 『형태론』 5권 2호, 형태론, pp255-271.
    엄정호(1989), 「소위 指定詞 構文의 統辭構造」, 『국어학』18, 국어학회, pp110-130.
    엄정호(1993), 「‘이다`의 범주 규정」, 『국어국문학』110, 국어국문학회, pp317-332.
    엄정호(2000), 「’이다’의 ‘이’는 조사인가?」, 『형태론』2권 2호, 형태론, pp333-343.
    우순조(2001), 「‘이다’의 ‘이’가 조사인 새로운 증거들」, 『형태론』3권 2호, 형태론, pp345-358.
    우순조(2006), 「활용 개념과 소위 ‘이다’와 관련된 오해들 표지이론적 관점에서」, 『언어학』(44),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pp79-121.
    육준철(2005), 「대조분석과 성인언어 교육」, 『현대영미어문학』23(4), 현대영미 어문학회, pp119-134.
    이기용(2001), 「대조언어학: 그 위상과 새로운 응용」, 『언어과학연구』 19, 언어과학회, pp69-86.
    이석린(1960), 「잡음씨 "이다"에 대하여」, 『한글』(127), 한글학회, pp42-49.
    이석재, 김정아, 장재웅(2007), 「영어, 중국어, 일본어권 화자의 한국어 음운 규칙 적용과정에서의 음소 산출 오류에 관한 연구」, 『한국어교육』18 1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359-393.
    이선웅(2012),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월인.
    이슬기(2019), 「중국어 명사술어문과 계사 생략의 인가조건」, 『중어중문학』78, 동국대 한국중어중문학회, pp165-202
    이호승(2006), 「격조사 없는 명사구의 격 문제에 대하여」, 『어문학』93, 한국어문학회, pp139-159.
    이희승(1959), 「체언(體言)의 활용(活用)에 대하여」, 『국어국문학』20, 국어국문학회, pp137-139.
    일 언(1996), 「[고찰과 연구] 지정사구문과 존재 구문의 화용론적 비교고찰」,『중국조선어문』(6),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pp12-15.
    임규홍(1986), 「국어 분열문에 관한 연구」,『어문학』 11, 한국어문학회, pp155-175.
    임근석(2009), 「국어(國語) 형용사(形容詞) {이-}의 어휘소(語彙素) 분류(分類) 시고(試稿)-‘확인(確認), 속성(屬性), 소재(所在), 제시(提示) 등(等)’의 의미(意味)를 중심으로-」,『어문연구』37권1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133-159.
    임근석(2012), 「국어 {이다}의 어휘소 분할에 대하여」,『한국어학』57, 한국어학회, pp299-329.
    임동훈(2005), 「‘이다’ 구문의 제시문적 성격」, 『국어학』45, 국어학회, pp119-144.
    장 욱(2015), 「한국어와 중국어의 계사 구문 대조 연구-‘이다’ 구문과‘是`자문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전공 석사논문.
    장하일(1956), 「임자 자리 말끝(Nominative Case Ending) "-이"」, 『한글』120, 한글학회, pp248-263.
    정인승(1959), 「우리말의 씨가름에 대하여」, 『한글』125, 한글학회, pp316-327.
    주 유(2019), 「한국어 ‘이다’ 구문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논문.
    진 열(2012), 「‘이다’ 구문에 대한 연구-중국어에서의 대응형식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논문.
    Jin Huihui‧이선웅(2015), 「한국어 ‘이-’와 중국어 ‘是’의 대조 연구」, 『우리말글』 66, 우리말글학회, pp33-62
    최기용(2001), 「’이다’의 ‘-이-’는 주격 조사이다」, 『형태론』3권 1호, 형태론, pp101-112.
    최정도‧김선혜(2009), 「‘부사+이다’ 구문에 대한 연구-‘그만이다’류를 중심으로-」, 『국제어문』46권, 국제어문학회, pp133-164.
    최현배(1956), 「잡음씨의 세움」, 『한글』120, 한글학회, pp213-247.
    최현배(1963), 「잡음씨에 대하여」, 『연세논총』2집, 연세대학교 대학원, pp1-66.
    최형용(2000), 「‘-적(的)’ 파생어의 의미와 ‘-적(的)’의 생산성」, 『형태론』2권 2호, 형태론, pp215-237.
    최흥수(1991), 「《是》자의 번역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제5호, 중국조선어문, pp49-52.
    탄나나‧남길임(2013), 「한국어와 중국어 계사 구문의 대조 연구-통사적 분포와 의미 기능 확장을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38,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탄나나(2015), 「’이다’ 구문에 대한 연구-중국어에서의 대응형식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한정한(2009), 「‘이다’의 형태, 통사, 의미 범주」, 『국어국문학』(151) , 국어국문학회. pp 117-149.
    홍재성(2010), 「프랑스어와 한국어 계사 구문의 유형론적 대조 연구」, 『학술원 논문집』 49집, 학술원. pp29-89.

    중국어 문헌
    丁廣華,2008,〈淺析漢語分裂句中的“是”〉,《蕪湖職業技術學院學報》第2期,蕪湖職業技術學院學,頁31-33。
    丁聲樹,1979,《現代漢語語法講話》,北京,商務印書館。
    王 力,1947,《中國現代語法(上冊)》,上海,商務印書館。
    王 力,1937,〈中國文法中的繁詞〉,《中國語文》第1期,清華大學,頁1-67。
    王 力,2013,《漢語史稿》,北京,中華書局出版。
    石毓智,2005,〈論判斷、焦點、強調與對比之關系—是”的語法功能和使用條件〉,《語言研究》第24期,新加坡國立大學中文系,頁43-53。
    朱德熙,2007,《語法講義》,香港,商務印書館(香港)有限公司。
    呂叔湘,1979,《漢語語法分析問題》,北京,商務印書館。
    呂叔湘,2007,《現代漢語八百詞》,北京,商務印書館。
    邵靄吉,2000,〈《馬氏文通》“斷詞”新解〉,《鹽城師范學院學報》第4期,鹽城師范學院學報編輯部,頁40-45。
    何思成,1984,〈談“是”的語法功能〉,《成都大學學報(社會科學版)》第2期,頁78-80。
    周洪波,1992,〈表判斷“是”字句的語義類型〉,《安徽教育學院學報》第4期,頁51-55。
    金家恒,2004,〈"是"字句句法語義研究〉,《黃山學院學報》第5期,黃山學院中文系,頁84-86。
    金海英,2009,《“是”字句和“이다”句的對比研究》,碩士論文,延邊大學。
    范 曉,1999,《三個平面的語法觀》,北京,北京語言學院出版。
    馬文熙‧張歸璧,1996,《古汉语知识解辞典》,北京,中華書局。
    馬建忠,2007,《馬氏文通》,北京,商務印書館。
    胡裕樹,1995,《现代汉语》,上海市,上海教育。
    姚亞平,1981,〈也說“是”字句〉,《南昌大學學報(人文社會科學版)》第4期,江西大學中文系七七級,頁82-91。
    陳天福,1995,〈論“是”字句〉,《河南大學學報》,第35卷, 第一期,全國漢語教學研究會,頁70-73。
    高名凱,1992,《漢語語法論》,上海, 上海書店。
    徐泰明,1989,〈“是”的多種詞性和多種功能〉,《曲靖師專學報》第2期,北京印刷學院出版系,頁80-88。
    徐開妍,2014,《韓國留學生漢語中介語句型、句式系統實證研究》,博士論文,南京師范大學。
    袁從潤,2007, 现代汉语強調方式初探,安徽师范大学硕士论文。
    張寶林,2002,〈關係動詞的鑑定標準〉,《語言教學與研究》第4期,北京語言文化大學漢語學院,頁48-54。
    湯廷池‧鄭良偉‧李英哲,1983,《漢語句法‧語意學論集 : 言談宇宙與語意領域 ; 漢語中的預設與量化》,臺北市,臺灣學生書局。
    黃伯荣‧廖序東,1991,《現代漢語》,北京,高等敎育出版社。
    趙元任,2010,《漢語口語語法》,北京,商務印書館。
    鄭蔓威,2001, 现代汉语“是”字句,黑龙江大学硕士论文。
    劉月華‧潘文娱‧故韡,2001,《實用現代漢語語法(增訂本)》,北京,商務印書館。
    劉相臣,2004,〈“是……的“的是”格式中“是”“的”的性質和用法探討〉,《語文學刊》第3期,南京師范大學文學院 江蘇南京,頁101-104。
    劉 潔,2013,〈“特別”和“尤其”的用法比較〉,《現代語文(學術綜合版)》第10期, 天津職業技術師范大學,頁153-154。
    黎錦熙,1925,《新著國語文法》,上海,商務印書館。
    謝永玲,1999,〈也說“是”字句〉,《漢語學習》第3期,北京印刷學院出版系,頁26-29。

    영어 문헌
    Bhatia, V. K.(1993), Analysing genre : language use in professional settings , London ; New York : Longman.
    Croft, W.(1991), Syntactic Categories and Grammatical Relationas. Chic ago, Lond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rystal, D.(2008), A First Dictionary of Linguistics and Phoentics, BLACKWELL PUBLISHING
    Curme, George O.(1931), Syntax, Boston:D.C. Heath & Company.
    Declerck, Renaat.(1988), Studies on Copular Sentences, Clefts and Pse udoclefts. Dordrecht: Foris
    Den Dikken, M.(2006), Specificational Copular Sentences and Pseudocl efts, In Everaert, M. and van Riemsdijk, H, eds., The Blackwel l Companion to Syntax, vol. IV, Malden, MA/Oxford: Blackwell Publishing.
    Dixon(2002), Copula Clause in Australian Language: A Typological Per spective, Anthropological 44:1
    Heggie, Lorie H. (1988). The syntax of copular structur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m Califomia, Los Angeles.
    Hengeveld, K.(1992), Non-verbal Predication. Berlin, New York: Mouto n de Gruyter.
    Higgins, F. Roger.(1979) The Pseudo-cleft Construction in English. Ph D. thesis, Cambridge, MA: MIT. Published by Garland Press, New York.
    John Lyons(1968), Introduction to theoretical linguistics, London : Cambridge U.P.
    John Lyons(1977). Semantics. Cambridge etc.: Cambridge University Press.
    Li and Thompson (1981), Mandarin Chinese. A Functional Reference Grammar. Berkeley et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Lynne Flowerdew (2012), Corpora and Language Education. Palgrave Macmillan.
    Matthew S. Dryer(2007), Clause types, In Timothy Shopen (ed.), Langu age Tyoplogy and Syntactic Dsecription(Second edition), Volum e 1
    Moro, Andrea (2006). Copular Sentences. In M. Everaert & H. van Riemsdijk (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syntax, vol. 2. Malden, MA: Blackwell.
    Levinson, Stephen C. (1983), Pragmatics. Oxford University Press.
    Regina Pustet(2003), Copulas: Universals in the Categorization of the Lexicon. Oxford University Press.
    Stassen, L.(1997), Intransitive Predication, Oxford; Clarendon Press.
    Verheugd, Els (1990). Subject Arguments and Predicate Nominals: A Study of French Copular Sentences With Two NPs. Amsterdam: Rodopi.

    인터넷 사이트
    국립국어원 언어정보 나눔터(세종21말뭉치): https://ithub.korean.go.kr
    대만중앙연구원코퍼스(中央研究院平衡語料庫): asbc.iis.sinica.edu.tw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
    Description: 碩士
    國立政治大學
    韓國語文學系
    106557008
    Source URI: http://thesis.lib.nccu.edu.tw/record/#G0106557008
    Data Type: thesis
    DOI: 10.6814/NCCU202100335
    Appears in Collections:[Department of Korea Language and culture] Theses

    Files in This Item:

    File Description SizeFormat
    700801.pdf3063KbAdobe PDF2277View/Open


    All items in 政大典藏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社群 sharing

    著作權政策宣告 Copyright Announcement
    1.本網站之數位內容為國立政治大學所收錄之機構典藏,無償提供學術研究與公眾教育等公益性使用,惟仍請適度,合理使用本網站之內容,以尊重著作權人之權益。商業上之利用,則請先取得著作權人之授權。
    The digital content of this website is part of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Institutional Repository. It provides free access to academic research and public education for non-commercial use. Please utilize it in a proper and reasonable manner and respect the rights of copyright owners. For commercial use, please obtain authorization from the copyright owner in advance.

    2.本網站之製作,已盡力防止侵害著作權人之權益,如仍發現本網站之數位內容有侵害著作權人權益情事者,請權利人通知本網站維護人員(nccur@nccu.edu.tw),維護人員將立即採取移除該數位著作等補救措施。
    NCCU Institutional Repository is made to protect the interests of copyright owners. If you believe that any material on the website infringes copyright, please contact our staff(nccur@nccu.edu.tw). We will remove the work from the repository and investigate your claim.
    DSpace Software Copyright © 2002-2004  MIT &  Hewlett-Packard  /   Enhanced by   NTU Library IR team Copyright ©   - Feedback